지난 번에 바빌론 테스트넷을 설치해서 노드를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었죠? 이번엔 그 바빌론 테스트넷의 마이그레이션 작업 즉, 업데이트를 해줘야됩니다. 바빌론은 설치가 되어있어야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겠죠? 만약 설치 안하셨었다면 바로 2. 바빌론 노드 마이그레이션(업그레이드)하기 로 넘어가주세요. 하신 분들은 1번부터 차근차근 해주시면 됩니다. 바빌론에 대한 내용이나 노드 설치에 대한 부분은 2024.01.31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노드 운용하기] - 바빌론 노드? 무조건 해야됩니다. 엄청난 녀석이에요! 바빌론 노드? 무조건 해야됩니다. 엄청난 녀석이에요! 이번엔 바빌론 노드에 대해 살펴보고 노드를 굴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바빌론은 비트코인의 스테이킹을 지원해주는 디파이라고 보시..
Tea Protocol이라는 바이낸스랩스가 투자한 OSS기반의 Web3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해당 프로토콜은 2022년에 이미 $8M이상을 투자받은 녀석으로 오픈소스의 생태계를 Web3에도 지원하기 위한 테스트넷을 출시했습니다. 간단하게 Tea 프로토콜의 사업목적을 설명하자면 기존의 컴퓨터관련 개발생태계에서 오픈소스가 개발의 발전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발전시켰는데, 이 부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Web3로써의 X2E가 적용되어 보상도 받는 등의 오픈소스의 생태계 관리 및 보상용 툴을 만드는걸 목표로 하는 시스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튼 개발자에게 이득이 될만한 녀석이라 테스트넷해도 먹여줄까? 싶지만 본인들이 비개발자용을 위한 테스트넷 퀘스트도 이렇게 작성을 했죠.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 비개발자 ..
이번 시간엔 돌아온 리니아 Voyage Quest! Linea의 Web3 Gaming Adventure인 Linea Park에 대해 가이드를 하려고 합니다. 해당 퀘스트는 매주마다 바뀌며, 총 6주간 진행되어 4월 2일에 끝나는 퀘스트인데요. 이 퀘스트를 수행해서 얻은 작업을 통해 LXP를 획득할 수 있고, 이 LXP는 추후 Linea의 토큰이 발행되었을 때 교환할 수 있는 에어드랍용으로 적용되니까 꼭 획득해야겠죠? 왜 그럼 이 Linea의 LXP 획득작업을 해야돼냐!! 바로 Consensys라고 하는 회사때문입니다. Linea는 Consensys가 만든 Layer2 네트워크인데, 이 Consensys는 우리가 흔히 아는 메타마스크라는 Web3 지갑을 개발한 회사기도 합니다. 이미 이더리움쪽의 스타트업으..
ZETA체인의 메인 코인인 $ZETA가 드디어 에어드랍 및 상장을 했다. 사실 이 ZETA는 작년부터 내내 나왔던 녀석인데 드디어 상장했다고 볼 수 있겠다. 무려 2022년부터 빌드업을 쌓아온 프로젝트라고 볼 수 있고, 그 뒤로도 많이 언급을 해왔었다. 물론 내 텔레그램 방에서도 마찬가지로 2022년 11월부터 언급해왔던 녀석이기도 하다. 하지만.. 역시나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관심이 낮아지는 법.... 중간중간 언급을 하긴 했었지만 귀찮아서 잘은 안했다. ZETA체인의 에어드랍을 위한 작업은 이러했다. 여기 보이듯이 주 1회 메인 체인에 접속해서 트랜잭션을 쌓는 즉, 포인트를 획득하는 작업을 진행해야했고 그 외에도 Crew3와 Guild Role 작업을 진행해왔어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 주마다 챙..
이번엔 Io.Net이라고 하는 노드를 돌려보려고 합니다. io.net은 솔라나기반의 DePIN인데요. 이미 분산네트워크의 길로 파일코인, 렌더 네트워크, 솔라나와 함께 돌아가는 녀석이기도 합니다. 특히 요즘 핫한 AI메타로도 분류된 녀석으로 최근 관심도가 엄청 급증하고 있기도 하죠. 이미 Io.Net의 홈페이지에도 적혀있듯이 DePIN이라고 나와있죠. 예전에도 DePIN과 AI는 밀접하다고 말한 적이 있었으니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겠습니다. 아무튼 이런 Io.NET을 통해 본인의 PC의 자원을 제공해주고, 그 대신 보상을 받는 구조다.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현재는 토큰이 없어서 USDC로 보상을 받는 듯 하고, 추후 토큰이 출시되면 토큰으로 보상받지않을까 싶은데요. 그만큼 지금 당장 본인의 PC를 통해..
2024년엔 에드로 1억을 벌 거라는 호언장담을 하고, 첫 달이 지났다. 2024.01.11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2024 에드로 1억벌기 챌린지] - 에드로 1억 챌린지 시작!!
솔라나 기반의 DEX, 쥬피터의 토큰인 $JUP이 2월 1일 자정에 상장했다. 사실 $JUP은 이전부터 에어드랍 줄거라고 얘기가 많이 나왔던 거라 많은 사람들이 에어드랍 자격이 되나 안되나를 확인하곤 했었는데... 난 당연히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했었다. 왜냐면 솔라나체인을 잘 이용하지 않았었고, FTX사태 이후로 솔라나에 대한 믿음 또한 사라져버렸기 때문에 굳이 거들떠도 안봤었기 때문... ☞나같은 사람 생각보다 많을걸..? 하지만, 이게 웬걸?! 스테픈의 DEX가 쥬피터라 스테픈을 한 사람들이라면 아마 해당 지갑이 대상이 될거라는 얘기가 나왔었다. 그래서 부랴부랴 체크해본 결과 워후!! 450개 할당!!!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렇게 대상이 되었다는 것을 알았는데... 그래도 개당 0.5달러정도 하..
Lava Protocol이라고 이번에 $15M 규모의 펀딩을 받은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도 현재 테스트넷을 진행 중인데요. 일단 테스트넷은 테스트넷이고 어떤 녀석인지부터 살펴보자면 Lava Network는 모듈러 기반의 네트워크로 지갑 사용자는 Lava 기반 엔드포인트를 사용하여 지갑에서 거래를 하고 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도록 상당히 간단한 녀석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2023년 2월에 테스트넷 1단계를 진행했고 이제 2단계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2단계는 2023년 11월부터 진행된 만큼 얼마되지는 않았다는 점을 아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테스트넷 2단계에서는 지갑 사용자는 지갑에서 엔드포인트를 Lava 기반 엔드포인트로 변경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무슨 말인..
최근 크립토씬을 아주 뜨겁게 달궜던 솔라나모바일2 속칭 솔라나폰이 사전예약을 받고있었죠? 현재도 사전예약을 받는 중이고, 사전주문 목표판매대수는 10만대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이 솔라나모바일에 대한 사전주문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해당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솔라나모바일의 출시부터 2가 변경된 부분, 그리고 한국 구매자에 대한 주의사항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솔라나모바일의 첫 번째 핸드폰, Saga 먼저 솔라나모바일은 이미 2022년에 첫 번째 스마트폰을 판매했었습니다. 현재는 제작된 모든 물량이 소진되어 Sold Out이라는 문구를 띄우고 있지만, 개당 599달러에 판매가 될 만큼 해당 제품에 대한 퀄리티는 중저가 보급형 스마트폰의 라인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겠죠. 그리고 이 솔라나..
무조건 해야되는 프로젝트가 나왔습니다. 정말 강력하게 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ETHENA라는 스테이블코인 예치 프로젝트인데요. 할 거라곤 정말 간단하게 스테이블코인인 테더를 활용해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USDe를 획득하고, 예치만 하면 되는 간단한 작업입니다만... 왜이렇게 하라고 말씀드리냐! 위 내용은 2023년 7월에 투자받은 $6.5M규모의 투자액과 투자사들입니다. 내용을 보시면 데리빗, Bybit, OKX벤쳐스, 제미니, 후오비, 델파이, 비트멕스 등 왠만한 이름대면 알만한 곳들에서 다 투자를 했다고 볼 수 있구요. 2024년에 들어서는 바이낸스랩스까지 포함되며 왠만한 거래소는 다 투자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그 외에도 Web2에서 유명한 회사들인 페이팔, 프랭클린템플턴, 피델리티까..
Avail 노드라고 Infrastructure 기반의 노드가 있습니다. 최근 인프라기반의 블록체인 프로토콜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고, 그만큼 투자나 활용성 측면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놓치면 안되는데요. 이 Avail 노드도 그러한 녀석이기 때문에 놓치시지 마시기 바랍니다. 지난 번에 1편을 소개해드렸으니 이번엔 2편차례입니다. 퀘스트가 종료됐습니다. 조만간 새로운 작업이 다시 나온다고 하니 그걸로 봐주시면 될 것 같아요. 2편은 안보셔도 됩니다! 이번 2편은 지난번에 구축완료한 Avail 노드를 기반으로 Clash of Node 챌린지의 일환인 Dymension Rollup과 Madara | Karnot Appchain 작업 중 앱체인을 다룬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일단 Madara ..
Avail 노드라고 Infrastructure 기반의 노드가 있습니다. 최근 인프라기반의 블록체인 프로토콜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고, 그만큼 투자나 활용성 측면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놓치면 안되는데요. 이 Avail 노드도 그러한 녀석이기 때문에 놓치시지 마시기 바랍니다. 간단하게 어떠한 녀석인지 설명드리자면 Celestia, AltLayer와 같은 모듈러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블록체인을 확장하고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요. 그 중 Avail은 더욱 효율적이고 쉽게 차세대 신뢰 최소화 애플리케이션, 소버린 롤업, 영지식 또는 사기 방지 기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최적화된 블록체인이라고 합니다. 이 Avail은 폴리곤에서 출시된 녀석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