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타부입니다!이번 시간엔 MASA라는 AI관련 테스트넷의 노드를 돌려보려고 합니다.MASA는 공정한 AI를 구동하는 네트워크로, 전문화된 AI 교육데이터와 컴퓨터 리소스를 위해 개방적인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해 AI환경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라고 보시면 되는데요.이를 통해 대다수의 AI들이 MASA에서 제공하는 도구들을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공개를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MASA의 주요 특징으로는 공정한 AI : 결과를 투명하게 귀속시키고 데이터가 사용될 때마다 보상을 제공전문 데이터 및 오픈 소스 LLM : AI모델 훈련을 위한 전문적인 데이터를 제공해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제공오픈 마켓플레이스 :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AI 교육 데이터와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모두가 만들고 판매할..
안녕하세요! 메타부입니다.이전에 설명해드렸던 Heurist라고 AI 프로젝트 다들 아시죠?최근 악의성 공격을 띄우는 스캐머들이 많아져서, 휴리스트측에서 긴급하게 업데이트를 냈습니다.별도의 업데이트라서 이렇게 따로 빼서 설명드리네요!그래서 이번 업데이트는 ID지갑을 추가해서 ID지갑이 채굴 전 한 번 공격을 걸러주고, 채굴이 되도록 안전망을 거치도록 변경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이번 업데이트를 위해선 기존에 노드를 돌리시던 분들이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Heurist 노드 돌리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2024.04.01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노드 운용하기] - 휴리스트(Heurist) AI Incentivized Testnet(인센티브 테스트넷) 작업 시작! 휴리스트(Heurist) AI Incentiv..
0G Labs라고 하는 AI기반의 프로젝트가 있습니다.어떠한 녀석들인지 0G의 블로그를 살펴보면 이렇게 나와있네요.0G는 AI 시대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의 용량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략인 최초의 모듈형 AI 체인을 생성한다는 명확한 비전을 가지고 출발했습니다.라고 말이죠. 뭐 그런걸 떠나서 무엇을 하는 녀석이냐면 모듈형 아키텍쳐로 구성되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모놀리식 구조로 돌아가는 방식을 채택했고, 그런 모듈형 방식에 AI를 접목한 체인이다. 라고 하는 것이죠. 그래서 빠른 속도의 네트워크와 합의 레이어 처리 등등을 통해 빠른 트랜잭션 속도를 처리할 수 있고, 모듈방식을 활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dAPP에서 적합한 합의 매커니즘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간다고 합니다. 그..
안녕하세요! 메타부입니다.이전에 한 번 설명해드렸던 Heurist라고 AI 프로젝트 기억하시나요?이 프로젝트는 AI랑 마이닝도 출시하고 여러가지로 커뮤니티에 하잎을 붙이는 녀석이긴한데...아직 자세한 투자액이나 공격적인 토큰출시 등등에 대해 올라온 것은 없다고 말씀드렸죠.하.지.만...해당 프로젝트의 WL의 가격은아직도 이런 상황.. 아무튼 이전의 노드 셋팅방법은https://metaboo.tistory.com/61 Heurist 노드, 언제 끝날지 모르니 빨리해야돼요!Heurist라고 AI 프로젝트가 있는데요. 이 프로젝트는 AI랑 마이닝도 출시하고 여러가지로 커뮤니티에 하잎을 붙이는 녀석이긴한데... 아직 자세한 투자액이나 공격적인 토큰출시 등등에 대해 올라metaboo.tistory.com위 블로그..
이번엔 지난번 Tabi의 테스트넷 1차에 이은 2차 Vayage가 출시되어 가져와봤습니다. 기본적인 Tabi가 어떤 녀석인지나 테스트넷 1차로는 무엇을 했었는지 보시려는 분들은 2024.03.04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에어드랍 작업 정리] - Tabi 테스트넷 출시!!! 이젠 테스트넷 할 차례에요! - 가이드 Tabi 테스트넷 출시!!! 이젠 테스트넷 할 차례에요! - 가이드 Tabi라고 바이낸스에도 투자를 받았던 게임쪽 관련 블록체인이 있다고 설명드렸었습니다. Tabi에 대한 해당 내용은 아래 게시글이 이미 자세하게 작성해뒀으니 참고하시면 되구요. 2024.02.08 - [크 metaboo.tistory.com 위 게시글을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번엔 새롭게 출시된 Tabi의 2차 테스트넷 ..
Elixir라고 누적투자금이 어마어마한 녀석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설명이라면 ETH와 Sui기반의 Defi인데요. 공식 문서에 나와있는 설명으로는 이렇다고 하니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근데 보니까 이렇게 생각보다 상당히 많은 DEX들이 Elixir의 오더북 DEX기술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 그래서 그런가... 누적투자금도 이야... 이 봐라... 무려 $17.6M입니다. 한화로 약 200억원!!! 최근 시리즈B까지 받으면서 엄청난 관심을 받고있기도 하죠. 현재, 메인넷 런칭 전에 토큰을 위한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 듯 하니까 에어드랍 작업도 겸사겸사 이렇게 노드도 돌릴 수 있으니 노드작업도 겸사겸사! 알려드리도록하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에어드랍 가이드 시작합니다 1. Elixir 사이트 이..
Taiko 테스트넷 노드 운용해보기!! 이번에는 Taiko의 테스트넷(Alpha-6) 노드를 돌려보는 것을 같이 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이전에 Taiko노드 돌리는 방법 가이드를 냈지만 많이 부족했었거든요!! 그래서 이번에 다시 완벽하게 셋팅하기 위한 가이드로 돌아왔다!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타이코의 누적 투자규모액은 22M달러 규모고, 투자처는 요렇게 OKX벤쳐스, 쿠코인벤쳐스 등이 보이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건 에어드랍이니 에어드랍작업을 어떻게 해야되는지를 알아봐야겠죠? Taiko는 노드 뿐만 아니라, 현재 테스트넷 작업도 있으니까 Taiko가 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면 된답니다! 2024.01.24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에어드랍 작..
이번 시간에는 바빌론 노드 작업하는데 발생하는 에러를 해결하러 왔습니다. 그 해결책을 정리할 겸 이렇게 바빌론 후속느낌으로 글을 작성하게 되었는데요. 이 글은 바빌론을 이미 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말씀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바빌론 세팅은 2024.02.25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노드 운용하기] - 바빌론 테스트넷 업데이트하기! 안하면 보상 안받아집니다~ 바빌론 테스트넷 업데이트하기! 안하면 보상 안받아집니다~ 지난 번에 바빌론 테스트넷을 설치해서 노드를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었죠? 이번엔 그 바빌론 테스트넷의 마이그레이션 작업 즉, 업데이트를 해줘야됩니다. 바빌론은 설치가 되어있어 metaboo.tistory.com 위 게시글을 참조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 커넥션 에러 / las..
순서를 좀 조정해서 쉽게 순차적으로 따라할 수 있게 개편했습니다! Ritual이라고 하는 인공지능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일단 위에 보이는대로 시리즈 A에서 $25M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을 정도로 태생부터 자금력 빵빵한 녀석이라고 보시면 되겠구요. 특히 Angles 보세요. 엔젤투자자 목록이 미쳤습니다. 전 코베 CTO, 월드코인(그 홍채팔이), 에이건레이어, 모나드, 플래시봇 등등 어후.. 말로는 입아픕니다. 이런 녀석들이투자를 한 인공지능 프로젝트니까 노드 돌리면 일단 좋을거 같다~~ 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 ★ 3월 22일 이전 노드 생성자는 이거만 추가해주세요. Ritual Node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여기를 클릭하시면 자동으로 넘어가집니다! 일단 어떤 녀석인지 살펴자면 이렇게 나오듯이 개방형 A..
지난 번에 바빌론 테스트넷을 설치해서 노드를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었죠? 이번엔 그 바빌론 테스트넷의 마이그레이션 작업 즉, 업데이트를 해줘야됩니다. 바빌론은 설치가 되어있어야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겠죠? 만약 설치 안하셨었다면 바로 2. 바빌론 노드 마이그레이션(업그레이드)하기 로 넘어가주세요. 하신 분들은 1번부터 차근차근 해주시면 됩니다. 바빌론에 대한 내용이나 노드 설치에 대한 부분은 2024.01.31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노드 운용하기] - 바빌론 노드? 무조건 해야됩니다. 엄청난 녀석이에요! 바빌론 노드? 무조건 해야됩니다. 엄청난 녀석이에요! 이번엔 바빌론 노드에 대해 살펴보고 노드를 굴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바빌론은 비트코인의 스테이킹을 지원해주는 디파이라고 보시..
Tea Protocol이라는 바이낸스랩스가 투자한 OSS기반의 Web3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해당 프로토콜은 2022년에 이미 $8M이상을 투자받은 녀석으로 오픈소스의 생태계를 Web3에도 지원하기 위한 테스트넷을 출시했습니다. 간단하게 Tea 프로토콜의 사업목적을 설명하자면 기존의 컴퓨터관련 개발생태계에서 오픈소스가 개발의 발전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발전시켰는데, 이 부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Web3로써의 X2E가 적용되어 보상도 받는 등의 오픈소스의 생태계 관리 및 보상용 툴을 만드는걸 목표로 하는 시스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튼 개발자에게 이득이 될만한 녀석이라 테스트넷해도 먹여줄까? 싶지만 본인들이 비개발자용을 위한 테스트넷 퀘스트도 이렇게 작성을 했죠.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 비개발자 ..
Avail 노드라고 Infrastructure 기반의 노드가 있습니다. 최근 인프라기반의 블록체인 프로토콜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고, 그만큼 투자나 활용성 측면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놓치면 안되는데요. 이 Avail 노드도 그러한 녀석이기 때문에 놓치시지 마시기 바랍니다. 지난 번에 1편을 소개해드렸으니 이번엔 2편차례입니다. 퀘스트가 종료됐습니다. 조만간 새로운 작업이 다시 나온다고 하니 그걸로 봐주시면 될 것 같아요. 2편은 안보셔도 됩니다! 이번 2편은 지난번에 구축완료한 Avail 노드를 기반으로 Clash of Node 챌린지의 일환인 Dymension Rollup과 Madara | Karnot Appchain 작업 중 앱체인을 다룬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일단 Madara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