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on이라고 하는 Layer1 개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이 Xion은 원래 Burnt Finance라는 이름을 가진 프로젝트였는데 어느 순간 Xion으로 이름을 바꾼 프로젝트이기도 한데요. 추상계층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인 Xion은 프로토콜 수준 구현을 통해 모든 복잡성을 추상화하고 블록체인 산업의 광범위한 채택을 방해하는 주요 과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된 인프라 솔루션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외에는 서명도 추상화로 이루어지고, dAPP과의 상호작용(키)도 추상화로 이루어지는 개념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거래와 보안측면에서의 안정성을 모두 보유하는 네트워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Xion이 어떠한 프로젝트인지 자세한 부분은 백서를 확인하시면 되니 아래의 링크를 통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번엔 바빌론 노드에 대해 살펴보고 노드를 굴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바빌론은 비트코인의 스테이킹을 지원해주는 디파이라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바빌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이렇습니다. 기본적으로 디파이는 보안적인 취약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공격당하면 가격이 하락하는 심각한 상황이 맞이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해결하기 위해 바빌론 체인은 지분증명 네트워크들의 체크포인트를 보안이 가장 강력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기록해 롱 레인지 공격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롱 레인지 공격이란, 공격자가 블록체인의 제네시스 블록에서부터 다시 포크를 만들어 메인 체인을 뒤집는 공격을 말하는데, 이 때 오랫동안 운영되지 않은 노드의 경우 검증이 취약해지는 점을 악용해 헛점을 이용한 공..
Taiko 테스트넷 노드 운용해보기!! 이번에는 Taiko의 테스트넷(Alpha-6) 노드를 돌려보는 것을 같이 해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인 노드를 돌리기 위한 셋팅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시면 되겠구요. 2024.01.25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노드 운용하기] -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하기 - 블록체인 노드를 돌리기! 어렵지 않아요!!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하기 - 블록체인 노드를 돌리기! 어렵지 않아요!! 다들 블록체인 노드를 한번 운용해보려는데 막막하신가요? 사실 비트코인, 이더리움처럼 CPU, GPU를 활용하는 자원은 실제 본인의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해야되기 때문에 전력량으로 인해 많은 비 metaboo.tistory.com Taiko는 노드 뿐만 아니라, 현재 테스트넷 작업도 있으니..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언급했던 Layer2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바로 타이코(Taiko)가 바로 그 녀석인데요. zkEVM을 기반으로 한 보안 L2 인프라라는데 이런저런 네트워크 기반의 설명이나 시스템적인 측면은 넘어가도록 하고... 누적 투자규모액은 22M달러 규모고, 투자처는 요렇게 OKX벤쳐스, 쿠코인벤쳐스 등이 보이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건 에어드랍이니 에어드랍작업을 어떻게 해야되는지를 알아봐야겠죠? 간단하니까 금방 따라오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초간단!!!! 1. 지갑 연결 및 Faucet 받기 일단 메타마스크 지갑에 Katla 테스트넷 / Holesky 체인을 추가한 뒤에 에어드랍 작업을 위한 Faucet을 챙겨야되는데요. 아래 접속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