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MODE라고, OP기반의 ETH 예치 플랫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본적인 방식은 BLAST와 똑같은 구조로... 브릿징을 하면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고, 그 포인트가 토큰으로 전환되는 방식이죠. 좀 자세히 살펴보자면 OP기반으로 만들어진 L2로, $2M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받은 프로젝트이기도 하고, 그렇기 때문에 OP측에서도 밀어줄 여력이 충분히 있는 L2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시즌1의 에어드랍으로 총 물량의 5.5%를 지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자세히 보시면 나오지만, 상위 20% 캠페인 참가자 중 NFT 복권 당첨자도 있는 만큼 돈이 많이 들어갈 수록 더욱 뭔가를 많이 주는 것이 팩트이긴 합니다... 아무튼 5억 5천개의 MODE 토큰이 분배될 예정이라고 하고 토큰의 분배는 4월이라..
Dmail이라고 작년에 진행했던 에어드랍 작업이 있었다. 아무튼 그때부터 간간히 출석체크마냥 했던 DMAIL이었는데 드디어 1월 30일에 OKX에 상장했다. 겸사겸사 DMAIL을 채굴할 수 있는 런치풀(점프스타트)도 같이 진행했길래 BTC와 OKX둘 다 활용해서 채굴해보려고 했다. 에어드랍의 기준은 이러하다고 나왔었는데.. 대충 이러하다고 했다. 올해부터 부랴부랴 한 사람들은 다 못받았고, 작년에 꾸준히 한 사람만 먹여주는 방식. 근데 더 문제는 최소 컨택트 5개 이상.... 수령 주소가 5개나 되어야 된다는 것이었다. ☞이걸 누가 받아!!! 라고 생각했지만.. 받았더라고 ㅎㅎ.. 그래서 총 채굴량은 800개정도 됐다. OKX에서 600개정도 에어드랍으로 220개정도.. 그래서 코인원으로 보내서 팔아서 ..
이번엔 바빌론 노드에 대해 살펴보고 노드를 굴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바빌론은 비트코인의 스테이킹을 지원해주는 디파이라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바빌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이렇습니다. 기본적으로 디파이는 보안적인 취약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공격당하면 가격이 하락하는 심각한 상황이 맞이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해결하기 위해 바빌론 체인은 지분증명 네트워크들의 체크포인트를 보안이 가장 강력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기록해 롱 레인지 공격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롱 레인지 공격이란, 공격자가 블록체인의 제네시스 블록에서부터 다시 포크를 만들어 메인 체인을 뒤집는 공격을 말하는데, 이 때 오랫동안 운영되지 않은 노드의 경우 검증이 취약해지는 점을 악용해 헛점을 이용한 공..
Taiko 테스트넷 노드 운용해보기!! 이번에는 Taiko의 테스트넷(Alpha-6) 노드를 돌려보는 것을 같이 해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인 노드를 돌리기 위한 셋팅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시면 되겠구요. 2024.01.25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노드 운용하기] -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하기 - 블록체인 노드를 돌리기! 어렵지 않아요!!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하기 - 블록체인 노드를 돌리기! 어렵지 않아요!! 다들 블록체인 노드를 한번 운용해보려는데 막막하신가요? 사실 비트코인, 이더리움처럼 CPU, GPU를 활용하는 자원은 실제 본인의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해야되기 때문에 전력량으로 인해 많은 비 metaboo.tistory.com Taiko는 노드 뿐만 아니라, 현재 테스트넷 작업도 있으니..
이더리움이 남으신가요? 그렇다면 예치한 번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EigenLayer라고 예치를 도와주는 곳이 있습니다. EigenLayer(에이건레이어)는 이더리움을 예치한 토큰을 재예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인데요. 이더리움을 예치한 토큰을 LRT라고 부르고, 재예치를 LSD라고 부릅니다. 이 부분에 대한건 추후 리서치 카테고리를 통해 아실 수 있도록 올려놓을 예정이구요. 일단 LSD와 LRT의 개념에서 LRT와 LSD를 분류하는 기준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LRT(Liquid Restaked Token)는 이더리움을 특정 예치사이트에 staking하면 이더리움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토큰입니다. 특징으로는 ooETH, oooETH처럼 뒤에 ETH라는 이름이 붙어서, 누가봐도 스테이킹해서 ..
안녕하세요! 여러분. 메타부입니다. 리서치글로 이렇게 처음 인사를 드리게 되었네요. 앞으로 종종 이러한 리서치글을 모아서 업로드 해드리려고 합니다. 무엇보다도 블록체인 생태계 뿐만 아니라 여러 방면에서의 리서치를 통해 보다 이해하기 쉽고, 숙지하기 쉬운 그러한 내용들로 만들어 알기 쉽게 하고 싶은게 저의 나름의 소망인데요 ㅎㅎ 그래서, 여러 자료들을 참조하고 또 공부해서 소개해볼까 하네요. ☞아무래도 전문가는 아닌지라 틀린 부분이 많을 수도 있으니 그런 부분은 너그러히 양해 부탁드리고 댓글로 정정요청 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ㅎㅎ 그래서 이번엔 첫 번째 리서치로 DePIN에 대해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1. DePIN이란 무엇인가? DePIN은 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
알트레이어라는 프로젝트의 코인인 $ALT가 1월 25일 오후 7시에 바이낸스에 직상장했다. 사실 알트레이어가 투자규모도 엄청 많았고, 상장하면 먹여줄거라는 글도 상당히 많았었는데... 나는 뭐에 홀린듯이 1.28ETH를 주고 알트레이어 관련 NFT인 알트레이어를 하나 샀었다. 구매시기는 12월 18일이었고, 물론 구매금액은 퓨져니스트로 획득한 금액을 이용했었지.... 그 때 당시 1.28ETH도 300만원이 넘는 금액이었어서 이걸 사는게 맞나 고민이 많았었다. 그치만 어차피 하잎이 높은 프로젝트의 NFT라면 "못먹어도 고" 아니겠는가! 아직 상장까지 꽤나 남았다고 가정한다면 아무리 적어도 1.28ETH이상의 뽀찌는 챙겨줄 것이란 생각에 홀라당 구매해버렸다. ☞그치만 크게 잘못된 선택이었다. 그 때 당시 ..
이번에는 셀레스티아(Celestia)와 향후 스테이킹메타에서 에어드랍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Pyth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현재 Celestia는 상장한 이래로 스테이커들에게 엄청나게 행복한 금액의 토큰들을 계속해서 뿌려주고 있어 황티아라고 불릴 정도의 총애를 받고 있는 코스모스 계열의 토큰인데요. 일단 각각의 프로젝트들이 어떠한 녀석들인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Celestia(셀레스티아), $TIA 셀레스티아는 Cosmos기반의 SDK를 통해 탄생한 네트워크인데요. 핵심기능으로는 모듈러기반의 블록체인으로 사용자 수에 따라 안전하게 확장되는 모듈식 데이터 가용성(Data Availability) 네트워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거의 장점으로는 모듈형 체인인 셀레스티아가 사용자가 데이터 가..
다들 블록체인 노드를 한번 운용해보려는데 막막하신가요?사실 비트코인, 이더리움처럼 CPU, GPU를 활용하는 자원은 실제 본인의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해야되기 때문에 전력량으로 인해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지만 클라우드 컴퓨터를 활용한 방법도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터를 이용해서 노드를 굴려서 채굴도 하는 방식은 어떠신가요? 어려우셔서 진입하기 막막하셨나요?사실 어렵지 않기 때문에 아래 내용만 그대로 따라오시면 되는데요. 저는 실제 컴퓨터보다 클라우드 컴퓨터를 호스팅해서 활용하는 방법을 추천드리기 때문에 그것대로 따라와주시면 되겠습니다. 일단 그럼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하기 위한 사이트들 부터 알아봐야겠죠?1.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업체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업체는 상당히 다양합니다.가장 많이 아시는 회사가 ..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언급했던 Layer2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바로 타이코(Taiko)가 바로 그 녀석인데요. zkEVM을 기반으로 한 보안 L2 인프라라는데 이런저런 네트워크 기반의 설명이나 시스템적인 측면은 넘어가도록 하고... 누적 투자규모액은 22M달러 규모고, 투자처는 요렇게 OKX벤쳐스, 쿠코인벤쳐스 등이 보이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건 에어드랍이니 에어드랍작업을 어떻게 해야되는지를 알아봐야겠죠? 간단하니까 금방 따라오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초간단!!!! 1. 지갑 연결 및 Faucet 받기 일단 메타마스크 지갑에 Katla 테스트넷 / Holesky 체인을 추가한 뒤에 에어드랍 작업을 위한 Faucet을 챙겨야되는데요. 아래 접속해..
아비트럼 기반의 선물거래 DEX가 있습니다. 사실 여러개가 있지만 오늘 소개해드릴 에어드랍작업 대상의 Perp DEX는 바로 AARK와 Hyperliquid인데요. 둘 다 DEX기반의 선물거래소이기 때문에 청산에는 유의해 주시구요. 아비트럼은 특히나 이상하게도 Perp DEX가 상당히 많이 나오는 편이긴한데, 저 두 개만 해주셔도 괜찮기 때문에 조금마한 소액만큼이라도 해두시기 바라겠습니다. 일단 간단하게 각 프로젝트별로 설명드릴게요 1. AARK 첫번째는 AARK로 현재 각광받고 있는 아비트럼 기반의 선물거래 DEX(Perp DEX)입니다. 참고로, 위 트위터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Weekly Volume이 $269M일 정도로 거래량도 상당한 거래소라고 볼 수 있죠. 그치만 더욱 중요한 점은? 바로 위에 ..
혹시 컴퓨터 자원이 남거나,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신다면 Grass를 돌려보시는 건 어떨까요? Grass라고 WyndNetwork에서 운영하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인데요. 사실상 확장프로그램을 활용한 노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컴퓨터를 켜놓았을 때 안쓰는 자원을 판매하여 다른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노드다. 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말 그대로 안쓰는 자원을 활용해 채굴해 Grass쪽에 제공하고, Grass는 그걸 다른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보상으로 토큰을 준다는 방식입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https://wynd-network.gitbook.io/grass/info/faq FAQ - Grass Buyers seek unus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