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메타마스크만 쓰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혹시 다른 지갑으로 이용하기엔 꺼려지시나요? 그러한 마음은 잠시 접어두고 위 두 지갑을 한 번 이용해보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두 지갑 모두 현재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거든요. 해당 지갑들에 대한 설명은 맨 아래로 내리시면 되니 참고하세요! 크립토씬에서 활동하려면 필수인 지갑! 과연 어떻게 이용하는 건지부터 래비월렛과 레인보우월렛까지 한 번에 알아보겠습니다. 1. 지갑의 종류 원래 지갑의 제일 처음엔 메타마스크가 존재했습니다. 이 여우녀석이죠. 제일 대표적인 녀석입니다만... 지갑이란게 다 그렇듯이 비슷한 성향을 갖고 있습니다. 아무튼 이 메타마스크는 EVM기반으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EVM외의 다른 시스템을 활용하는 체인은 추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더리움을 스테이킹하는데 그걸 활용해서 레고머니를 쌓아갈 수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가능합니다. 사실 흔히 스테이킹이라고 하면 예치해서 해당 물량을 다시 스테이킹해제(언스테이킹)할 때까지 물량을 유동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꺼려하는 것도 사실이죠. 그리고 이러한 물량을 다시 언스테이킹하려면 일정기간이 지나야지만 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기간동안 가격이 상승하면 좋겠지만!! 하락하면 손실보면서 언스테이킹하게되는 그러한 사유도 생깁니다. 그래서 사실 스테이킹을 좋아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고, 좋아한다해도 물량이 너무 많아(혹은 돈이 너무 많아) 일정 부분은 스테이킹해도 상관없다! 하시는 분들만 스테이킹하는 그런 형식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스테이킹만 하면 원래는 끝나는데, 스테이킹한 코인을 동일한..
이번에는 Renzo(렌조)라고 불리는 LSD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렌조는 스테이킹만해도 EigenLayer의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고 하는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렌조는 제목에서 알려드렸듯이 LSD 프로젝트인데요. LSD는 이전 swell, blast, puffer와 같은 방식의 ETH를 예치해서 얻은 토큰을 활용할 수 있는 재예치 프로토콜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이렇게 렌조는 ETH를 스테이킹하면 Renzo의 포인트 뿐만 아니라 EigenLayer의 포인트도 획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그 이유는 어떻게 보면 렌조가 유저에게 ETH를 예치하면 ezETH를 주는 대신, 해당 ETH를 EigenLayer에 스테이킹하는 방식을 취해서 중간에서 에이건레이..
Farcaster라고 코인베이스가 미는 Web3의 트위터 같은 SNS가 있습니다. 코인베이스가 밀고 있기 때문에 체인 역시 BASE체인위에서 구동되는 SNS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기본적인 UI/UX는 트위터와 동일합니다. 일단 코인베이스가 민다고 말씀드렸기 때문에 왜 그런지 궁금하시지 않나요? 왜냐면, 코인베이스의 부회장이었던 Dan Roimero가 만든 회사이기 때문입니다. 이 Dan Romero의 약력을 살펴보자면 듀크대 졸업 후, 코인베이스에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부회장으로 근무를 해왔구요. 이후 2020년부터 현재까지 Farcaster의 공동 설립자로 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른 나머지 설립자는 위 기사에서 나오듯이 Varun Srinivasan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솔라나체인의 NFT 마켓플레이스에는 텐서(Tensor) 외에도 원래 전통의 매직에덴(Magic Eden)이 있었습니다. 매직에덴(Magic Eden)은 제일 유명한 NFT 마켓플레이스의 오픈씨(Open Sea)와 결을 같이하는 솔라나기반의 오픈시(OpenSea)였다고 볼 수 있겠는데요. 오픈시(OpenSea)가 블러(Blur)의 등장으로 약간 밀린 것처럼 매직에덴(Magic Eden)도 솔라나판 블러(Blur)인 텐서(Tensor)의 등장으로 인하여 점유율을 뺏겼었죠. 그래서인지, 매직에덴도 리워드 정책을 발표하면서, 토큰 에어드랍을 위한 거래량 승부의 서막을 올렸습니다. 유저는 텐서를 쓰거나 매직에덴을 쓰면 토큰을 획득가능하게된 기로에 놓이게 되었다. 라고 볼 수 있겠죠. https://communit..
곧 상장하는 유망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니비루(Nibiru)가 상장전 에어드랍 작업을 위한 포인트 작업을 공개했습니다! 이 니비루(Nibiru)체인은 Layer1 기반의 체인으로 보안과 성능을 중시하는데요. 초당 40K 트랜잭션(TPS), 1.4초의 블록 시간정도밖에 안되며 실물자산연계(RWA), 게임, DeFi 등을 포함한 여러 분야를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CosmWasm 스마트 계약을 활용했기 때문에 Cosmos와 EVM쪽으로도 구축이 가능한 녀석이라고 볼 수 있죠. 그래서 사실 투자도 많이 받았습니다. 무려 2억 6천5백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았기 때문에 상당하다고 보는게 맞을 듯.... 아무튼 이런 녀석이 에어드랍을 위한 할당제를 냈다?! 무조건 해야됩니다. 무조건! 참고로..
이번에는 Tabi라는 녀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Tabi는 EVM 및 Million-TPS를 갖춘 Cosmos의 첫 번째 게임 체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원래 Tabi는 Treasuerland라는 프로젝트였는데 여행하다는 의미의 일본어인 Tabi로 이름을 바꾼 프로젝트인데요. 최근 Tabi의 행보도 심상치 않기 때문에 해두는 것이 좋을 수도 있겠단 생각입니다. 이유는 이렇게 Cosmos와의 협업도 공식적으로 발표를 했고, Tabi Chain을 공식적으로 언급하며 게이밍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인 부분도 이렇게 공개를 했다는 점? 위 기술을 통해 더욱 빠른 것은 물론이거니와, 다양한 체인이 존재하는 현재 블록체인 속에서 안정적이고 간편한 게이밍을 위한 기술을 지원하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
이번엔 BLAST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지난 번에 LSD와 같은 방식의 프로젝트였던 EigenLayer에 대해 알아보았었죠. 2024.01.29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에어드랍 작업 정리] - 이더리움이 남으시나요? 꼭 해보세요! EigenLayer + LSD 이더리움이 남으시나요? 꼭 해보세요! EigenLayer + LSD 이더리움이 남으신가요? 그렇다면 예치한 번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EigenLayer라고 예치를 도와주는 곳이 있습니다. EigenLayer(에이건레이어)는 이더리움을 예치한 토큰을 재예치할 수 있도록 도와 metaboo.tistory.com 그리고 그 전에 제 에어드랍 후기로는 Manta에 대해 작성도 했었습니다. 2024.01.16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에드작 복..
이번엔 곰블 게임즈 (Gomble Games) 시즌2가 진행되고 있어서, 새로운 곰블 게임즈 (Gomble Games) 에 대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곰블 게임즈(Gomble Games)는 지난 번에 말씀드렸듯이 랜덤다이스로 유명한 111%의 산하 블록체인 게임팀입니다. 즉, 한국 게임사이죠. 그리고 투자사도 꽤나 이름있는 투자사가 많듯이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회사이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그러한 곰블 게임즈가 시즌1을 끝내고, 시즌 2에 돌입하게 되었는데요. 시즌 1때 참여하지 않으신 분들을 위한 가이드라고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시즌1의 내용은 아래의 링크로 확인가능합니다. 2024.01.15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에어드랍 작업 정리] - 알고보면 대단한 곰블 게임즈(Gomble Games)..
Xion이라고 하는 Layer1 개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이 Xion은 원래 Burnt Finance라는 이름을 가진 프로젝트였는데 어느 순간 Xion으로 이름을 바꾼 프로젝트이기도 한데요. 추상계층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인 Xion은 프로토콜 수준 구현을 통해 모든 복잡성을 추상화하고 블록체인 산업의 광범위한 채택을 방해하는 주요 과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된 인프라 솔루션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외에는 서명도 추상화로 이루어지고, dAPP과의 상호작용(키)도 추상화로 이루어지는 개념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거래와 보안측면에서의 안정성을 모두 보유하는 네트워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Xion이 어떠한 프로젝트인지 자세한 부분은 백서를 확인하시면 되니 아래의 링크를 통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Puffer Finance라고 최근에 바이낸스 랩스의 투자를 받은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도 역시 당연히! 에어드랍 가이드가 있는데요. 챕터가 나뉘어져 있고, 아직 다 나오지 않았다보니 시리즈물처럼 Chapter 가이드를 연재하는 방식으로 업로드해볼까 합니다. ● Puffer Finance는? 일단, Puffer Finance는 이미 여러번 언급했던 LSD를 지원하는 재예치 프로토콜로 Puffer Finance는 EigenLayer를 기반으로 구축된 분산형 네이티브 Liquid Restake Protocol(nLRP)로, 슬래싱 방지 기술을 활용하여 위험을 줄이고 자본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기본 재스테이킹을 통해 보상을 강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번에 바이낸스랩스 투자를 받..
Parcl(파클)이라고 실물 경제와 연동된 가상자산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이 녀석을 말할 것 같으면 미국, 홍콩, 런던 등의 세계 주요 도시/국가의 부동산가격을 롱이냐 숏이냐로 가격을 베팅해서 돈을 버는 그런 구조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요즘 화두인 Real World Asset(RWA), 실물자산연계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또 이 RWA에 대해서 할 얘기는 따로 리서치를 통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무튼 이 파클(Parcl)은 솔라나기반으로 돌아가는 프로젝트인데, 이 프로젝트 역시 포인트를 에어드랍 해서, 추후 토큰이 나올 경우 전환이 가능한 그런 에드작이 가능한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파클(Parcl)의 투자규모는 현재 $11.5M 이라고 하는데요. 일단 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