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cl(파클)이라고 실물 경제와 연동된 가상자산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이 녀석을 말할 것 같으면 미국, 홍콩, 런던 등의 세계 주요 도시/국가의 부동산가격을 롱이냐 숏이냐로 가격을 베팅해서 돈을 버는 그런 구조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요즘 화두인 Real World Asset(RWA), 실물자산연계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또 이 RWA에 대해서 할 얘기는 따로 리서치를 통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무튼 이 파클(Parcl)은 솔라나기반으로 돌아가는 프로젝트인데, 이 프로젝트 역시 포인트를 에어드랍 해서, 추후 토큰이 나올 경우 전환이 가능한 그런 에드작이 가능한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파클(Parcl)의 투자규모는 현재 $11.5M 이라고 하는데요. 일단 위를..
이번에는 MODE라고, OP기반의 ETH 예치 플랫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본적인 방식은 BLAST와 똑같은 구조로... 브릿징을 하면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고, 그 포인트가 토큰으로 전환되는 방식이죠. 좀 자세히 살펴보자면 OP기반으로 만들어진 L2로, $2M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받은 프로젝트이기도 하고, 그렇기 때문에 OP측에서도 밀어줄 여력이 충분히 있는 L2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시즌1의 에어드랍으로 총 물량의 5.5%를 지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자세히 보시면 나오지만, 상위 20% 캠페인 참가자 중 NFT 복권 당첨자도 있는 만큼 돈이 많이 들어갈 수록 더욱 뭔가를 많이 주는 것이 팩트이긴 합니다... 아무튼 5억 5천개의 MODE 토큰이 분배될 예정이라고 하고 토큰의 분배는 4월이라..
이더리움이 남으신가요? 그렇다면 예치한 번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EigenLayer라고 예치를 도와주는 곳이 있습니다. EigenLayer(에이건레이어)는 이더리움을 예치한 토큰을 재예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인데요. 이더리움을 예치한 토큰을 LRT라고 부르고, 재예치를 LSD라고 부릅니다. 이 부분에 대한건 추후 리서치 카테고리를 통해 아실 수 있도록 올려놓을 예정이구요. 일단 LSD와 LRT의 개념에서 LRT와 LSD를 분류하는 기준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LRT(Liquid Restaked Token)는 이더리움을 특정 예치사이트에 staking하면 이더리움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토큰입니다. 특징으로는 ooETH, oooETH처럼 뒤에 ETH라는 이름이 붙어서, 누가봐도 스테이킹해서 ..
이번에는 셀레스티아(Celestia)와 향후 스테이킹메타에서 에어드랍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Pyth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현재 Celestia는 상장한 이래로 스테이커들에게 엄청나게 행복한 금액의 토큰들을 계속해서 뿌려주고 있어 황티아라고 불릴 정도의 총애를 받고 있는 코스모스 계열의 토큰인데요. 일단 각각의 프로젝트들이 어떠한 녀석들인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Celestia(셀레스티아), $TIA 셀레스티아는 Cosmos기반의 SDK를 통해 탄생한 네트워크인데요. 핵심기능으로는 모듈러기반의 블록체인으로 사용자 수에 따라 안전하게 확장되는 모듈식 데이터 가용성(Data Availability) 네트워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거의 장점으로는 모듈형 체인인 셀레스티아가 사용자가 데이터 가..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언급했던 Layer2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바로 타이코(Taiko)가 바로 그 녀석인데요. zkEVM을 기반으로 한 보안 L2 인프라라는데 이런저런 네트워크 기반의 설명이나 시스템적인 측면은 넘어가도록 하고... 누적 투자규모액은 22M달러 규모고, 투자처는 요렇게 OKX벤쳐스, 쿠코인벤쳐스 등이 보이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건 에어드랍이니 에어드랍작업을 어떻게 해야되는지를 알아봐야겠죠? 간단하니까 금방 따라오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초간단!!!! 1. 지갑 연결 및 Faucet 받기 일단 메타마스크 지갑에 Katla 테스트넷 / Holesky 체인을 추가한 뒤에 에어드랍 작업을 위한 Faucet을 챙겨야되는데요. 아래 접속해..
아비트럼 기반의 선물거래 DEX가 있습니다. 사실 여러개가 있지만 오늘 소개해드릴 에어드랍작업 대상의 Perp DEX는 바로 AARK와 Hyperliquid인데요. 둘 다 DEX기반의 선물거래소이기 때문에 청산에는 유의해 주시구요. 아비트럼은 특히나 이상하게도 Perp DEX가 상당히 많이 나오는 편이긴한데, 저 두 개만 해주셔도 괜찮기 때문에 조금마한 소액만큼이라도 해두시기 바라겠습니다. 일단 간단하게 각 프로젝트별로 설명드릴게요 1. AARK 첫번째는 AARK로 현재 각광받고 있는 아비트럼 기반의 선물거래 DEX(Perp DEX)입니다. 참고로, 위 트위터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Weekly Volume이 $269M일 정도로 거래량도 상당한 거래소라고 볼 수 있죠. 그치만 더욱 중요한 점은? 바로 위에 ..
혹시 컴퓨터 자원이 남거나,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신다면 Grass를 돌려보시는 건 어떨까요? Grass라고 WyndNetwork에서 운영하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인데요. 사실상 확장프로그램을 활용한 노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컴퓨터를 켜놓았을 때 안쓰는 자원을 판매하여 다른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노드다. 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말 그대로 안쓰는 자원을 활용해 채굴해 Grass쪽에 제공하고, Grass는 그걸 다른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보상으로 토큰을 준다는 방식입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https://wynd-network.gitbook.io/grass/info/faq FAQ - Grass Buyers seek unused ..
PolyHedra라고 토큰과 NFT 브릿지가 가능한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심지어 이것도 무려 바이낸스랩스의 투자를 받았다는 프로토콜이기도 하죠. 생각보나 바이낸스랩스가 투자한 곳들이 많네요 ㅎㅎ... 저는 예전에도 폴리히드라의 에어드랍작업을 진행하긴 했었는데, 이번엔 폴리히드라의 NFT도 나와서 겸사겸사 에어드랍작업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Polyhedra의 자세한 내용을 알고싶으시다면 https://docs.zkbridge.com/ Polyhedra Network - zkBridge Bringing interoperability, scalability, and privacy to Web3 with cutting-edge zero-knowledge proof systems. docs.zkbridge.co..
이번에 알아볼 작업은 헬리오(Helio) 프로토콜과 싱크클럽(Syncclub)입니다. 사실 이 두개는 지난 2023년 11월 말에 합쳐져서 Lista DAO로 리브랜딩한다고 했는데.. 아직도 소식이 없습니다. 근데 두 개가 합쳐져봤자 기능은 똑같을 것이기 때문에, 일단 미리 설명드리는 것으로 하구요. 나중에 합쳐지게 된다면 링크이어서 Lista DAO에서 바뀐 것을 설명해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작업하기전에 헬리오와 싱크클럽이 각각 무슨 역할은 하는 프로토콜인데 합쳐지고 리브랜딩을 하는 것인가... 알아야겠죠? 기본적인 내용은 알아야 에어드랍 작업을 해볼테니 말이죠. ● 헬리오(Helio) 프로토콜 헬리오 프로토콜은 BNB체인 기반의 담보대출 프로토콜입니다. 물론 확장해서 이더리움 체인..
Smart Layer(스마트레이어)라고 하는 프로젝트팀이 있는데요. ☞고양이NFT 초대게시글 링크 이 팀의 목표는 Smart Layer를 통해서 토큰,NFT, dAPP등을 손쉽게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지원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ERC-5169 및 TokenScript를 개발하는 팀입니다. 우리는 충성도와 게임 분야에서 차세대 혁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Smart Layer를 개발했습니다. · 실행 가능한 토큰을 통해 자산을 경험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실행 가능한 토큰은 미니 dApp이 되는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 Web2와 Web3 간의 통합 지점인 실행 가능 토큰 위 내용이 Smart Layer팀의 목표이죠. 그래서 최근 Smart Layer에서 NFT를 활용해 온체인 게임..
KINZA라고 BSC(BNB체인) 기반의 대출 DEX가 있습니다. 근데 이녀석도 바이낸스 랩스로 부터 MVB 6에도 선정되면서 투자도 받았거든요? 그래서 좀 잘 먹여줄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큰 녀석이기도 합니다. 현재 Kinza는 포인트를 채굴할 수 있는데요. 딱봐도 바이낸스랩스에 투자도 받았으니..... 이 포인트가 나중에 토큰으로 변환되리라는건 누구나 아시겠죠? 그래서 혹시나 놓치지 않으시기 위해서 제가 정리한 번 싹 해드리려고 합니다. kinza에 대한 자세한 내용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가능합니다. https://kinzafinance.medium.com/ Kinza Finance – Medium Read writing from Kinza Finance on Medium. A secur..
KiloEx라고 BSC(BNB체인) 기반의 선물 DEX가 있습니다. ☞선물DEX 이용방법 바로가기☜ 선물DEX이용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위 링크를 눌러주시면 바로 연결됩니다. - 포인트리워드 정책변경(2024.01.19 업데이트) 보러가기 근데 이녀석이 바이낸스 랩스로 부터 MVB 6에도 선정되면서 투자도 받았거든요? 그래서 좀 잘 먹여줄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큰 녀석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저기에 있는 AltLayer, Kinza도 유망프로젝트라 곧 글 올릴 예정이고, SleeplessAI는 올해 초에 바이낸스에 상장했습니다! 현재 KiloEx는 포인트를 채굴할 수 있는데요. 딱봐도 바이낸스랩스에 투자도 받았으니..... 이 포인트가 나중에 토큰으로 변환되리라는건 누구나 아시겠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