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Io.Net이라고 하는 노드를 돌려보려고 합니다. io.net은 솔라나기반의 DePIN인데요. 이미 분산네트워크의 길로 파일코인, 렌더 네트워크, 솔라나와 함께 돌아가는 녀석이기도 합니다. 특히 요즘 핫한 AI메타로도 분류된 녀석으로 최근 관심도가 엄청 급증하고 있기도 하죠. 이미 Io.Net의 홈페이지에도 적혀있듯이 DePIN이라고 나와있죠. 예전에도 DePIN과 AI는 밀접하다고 말한 적이 있었으니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겠습니다. 아무튼 이런 Io.NET을 통해 본인의 PC의 자원을 제공해주고, 그 대신 보상을 받는 구조다.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현재는 토큰이 없어서 USDC로 보상을 받는 듯 하고, 추후 토큰이 출시되면 토큰으로 보상받지않을까 싶은데요. 그만큼 지금 당장 본인의 PC를 통해..
Avail 노드라고 Infrastructure 기반의 노드가 있습니다. 최근 인프라기반의 블록체인 프로토콜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고, 그만큼 투자나 활용성 측면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놓치면 안되는데요. 이 Avail 노드도 그러한 녀석이기 때문에 놓치시지 마시기 바랍니다. 지난 번에 1편을 소개해드렸으니 이번엔 2편차례입니다. 퀘스트가 종료됐습니다. 조만간 새로운 작업이 다시 나온다고 하니 그걸로 봐주시면 될 것 같아요. 2편은 안보셔도 됩니다! 이번 2편은 지난번에 구축완료한 Avail 노드를 기반으로 Clash of Node 챌린지의 일환인 Dymension Rollup과 Madara | Karnot Appchain 작업 중 앱체인을 다룬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일단 Madara ..
이번엔 바빌론 노드에 대해 살펴보고 노드를 굴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바빌론은 비트코인의 스테이킹을 지원해주는 디파이라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바빌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이렇습니다. 기본적으로 디파이는 보안적인 취약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공격당하면 가격이 하락하는 심각한 상황이 맞이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해결하기 위해 바빌론 체인은 지분증명 네트워크들의 체크포인트를 보안이 가장 강력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기록해 롱 레인지 공격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롱 레인지 공격이란, 공격자가 블록체인의 제네시스 블록에서부터 다시 포크를 만들어 메인 체인을 뒤집는 공격을 말하는데, 이 때 오랫동안 운영되지 않은 노드의 경우 검증이 취약해지는 점을 악용해 헛점을 이용한 공..
Taiko 테스트넷 노드 운용해보기!! 이번에는 Taiko의 테스트넷(Alpha-6) 노드를 돌려보는 것을 같이 해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인 노드를 돌리기 위한 셋팅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시면 되겠구요. 2024.01.25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노드 운용하기] -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하기 - 블록체인 노드를 돌리기! 어렵지 않아요!!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하기 - 블록체인 노드를 돌리기! 어렵지 않아요!! 다들 블록체인 노드를 한번 운용해보려는데 막막하신가요? 사실 비트코인, 이더리움처럼 CPU, GPU를 활용하는 자원은 실제 본인의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해야되기 때문에 전력량으로 인해 많은 비 metaboo.tistory.com Taiko는 노드 뿐만 아니라, 현재 테스트넷 작업도 있으니..
안녕하세요! 여러분. 메타부입니다. 리서치글로 이렇게 처음 인사를 드리게 되었네요. 앞으로 종종 이러한 리서치글을 모아서 업로드 해드리려고 합니다. 무엇보다도 블록체인 생태계 뿐만 아니라 여러 방면에서의 리서치를 통해 보다 이해하기 쉽고, 숙지하기 쉬운 그러한 내용들로 만들어 알기 쉽게 하고 싶은게 저의 나름의 소망인데요 ㅎㅎ 그래서, 여러 자료들을 참조하고 또 공부해서 소개해볼까 하네요. ☞아무래도 전문가는 아닌지라 틀린 부분이 많을 수도 있으니 그런 부분은 너그러히 양해 부탁드리고 댓글로 정정요청 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ㅎㅎ 그래서 이번엔 첫 번째 리서치로 DePIN에 대해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1. DePIN이란 무엇인가? DePIN은 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
다들 블록체인 노드를 한번 운용해보려는데 막막하신가요?사실 비트코인, 이더리움처럼 CPU, GPU를 활용하는 자원은 실제 본인의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해야되기 때문에 전력량으로 인해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지만 클라우드 컴퓨터를 활용한 방법도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터를 이용해서 노드를 굴려서 채굴도 하는 방식은 어떠신가요? 어려우셔서 진입하기 막막하셨나요?사실 어렵지 않기 때문에 아래 내용만 그대로 따라오시면 되는데요. 저는 실제 컴퓨터보다 클라우드 컴퓨터를 호스팅해서 활용하는 방법을 추천드리기 때문에 그것대로 따라와주시면 되겠습니다. 일단 그럼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하기 위한 사이트들 부터 알아봐야겠죠?1. 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업체클라우드 컴퓨터 호스팅업체는 상당히 다양합니다.가장 많이 아시는 회사가 ..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언급했던 Layer2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바로 타이코(Taiko)가 바로 그 녀석인데요. zkEVM을 기반으로 한 보안 L2 인프라라는데 이런저런 네트워크 기반의 설명이나 시스템적인 측면은 넘어가도록 하고... 누적 투자규모액은 22M달러 규모고, 투자처는 요렇게 OKX벤쳐스, 쿠코인벤쳐스 등이 보이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건 에어드랍이니 에어드랍작업을 어떻게 해야되는지를 알아봐야겠죠? 간단하니까 금방 따라오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초간단!!!! 1. 지갑 연결 및 Faucet 받기 일단 메타마스크 지갑에 Katla 테스트넷 / Holesky 체인을 추가한 뒤에 에어드랍 작업을 위한 Faucet을 챙겨야되는데요. 아래 접속해..
혹시 컴퓨터 자원이 남거나,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신다면 Grass를 돌려보시는 건 어떨까요? Grass라고 WyndNetwork에서 운영하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인데요. 사실상 확장프로그램을 활용한 노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컴퓨터를 켜놓았을 때 안쓰는 자원을 판매하여 다른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노드다. 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말 그대로 안쓰는 자원을 활용해 채굴해 Grass쪽에 제공하고, Grass는 그걸 다른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보상으로 토큰을 준다는 방식입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https://wynd-network.gitbook.io/grass/info/faq FAQ - Grass Buyers seek unus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