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타부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Kuzco의 노드를 구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Kuzco도 AI관련 프로젝트라 GPU를 사용해야되기 때문에, GPU 좋은 사양을 쓰실 분은 Vast.ai로 임대하시면 되고, 아니시면 집에서 맥이나 윈도우로 돌리시면 되는데요. 맥은 잘 안된다는 얘기도 있으니 가급적이면 윈도우로 돌려보시기 바랍니다!0. Kuzco란?Kuzco는 AI관련 크립토 프로젝트인데요.요런 성능을 띄고 있는 AI프로젝트라고 합니다. 그냥 쉽게 말해서 대규모 언어 모델을 돌리는데 리소스가 상당히 많이 필요한데 이걸 분산화시켜서 돌린다~~그래서 전력소모도 줄이고 유휴컴퓨터를 활용한 계산으로 더욱 효율적이라 좋다~~ 뭐 이런 뜻이라고 보시면 됩니다....만, 투자규모가 공개되질 않아..
지난 번에 바빌론 테스트넷을 설치해서 노드를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었죠? 이번엔 그 바빌론 테스트넷의 마이그레이션 작업 즉, 업데이트를 해줘야됩니다. 바빌론은 설치가 되어있어야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겠죠? 만약 설치 안하셨었다면 바로 2. 바빌론 노드 마이그레이션(업그레이드)하기 로 넘어가주세요. 하신 분들은 1번부터 차근차근 해주시면 됩니다. 바빌론에 대한 내용이나 노드 설치에 대한 부분은 2024.01.31 - [크립토 에어드랍 작업/노드 운용하기] - 바빌론 노드? 무조건 해야됩니다. 엄청난 녀석이에요! 바빌론 노드? 무조건 해야됩니다. 엄청난 녀석이에요! 이번엔 바빌론 노드에 대해 살펴보고 노드를 굴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바빌론은 비트코인의 스테이킹을 지원해주는 디파이라고 보시..
Tea Protocol이라는 바이낸스랩스가 투자한 OSS기반의 Web3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해당 프로토콜은 2022년에 이미 $8M이상을 투자받은 녀석으로 오픈소스의 생태계를 Web3에도 지원하기 위한 테스트넷을 출시했습니다. 간단하게 Tea 프로토콜의 사업목적을 설명하자면 기존의 컴퓨터관련 개발생태계에서 오픈소스가 개발의 발전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발전시켰는데, 이 부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Web3로써의 X2E가 적용되어 보상도 받는 등의 오픈소스의 생태계 관리 및 보상용 툴을 만드는걸 목표로 하는 시스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튼 개발자에게 이득이 될만한 녀석이라 테스트넷해도 먹여줄까? 싶지만 본인들이 비개발자용을 위한 테스트넷 퀘스트도 이렇게 작성을 했죠.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 비개발자 ..